반응형

개인 공매도 200

독일 국채에 투자해서 손실율 -98.1% 확정!? 우리은행 독일 DLF 사태

무슨 기레기급 제목같지만 사실이다. 우리은행이 '독일 국채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를 판매했는데 이게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하락하면서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해서 결국엔 데드라인을 넘어서고 투자자들은 원금을 모두 잃는 사태가 발생했다. 은행에서 독일 국채를 판다고 하니까 상당히 안전한 상품같지만 이름을 끝까지 잘 봐야한다. 파생상품(!) 이다. 국채 금리를 가지고 도박을 하는 구조의 상품인데 일정 변동폭을 벗어나면 사전에 정해진 결과값으로 귀결된다. 우리은행 독일 DLF 상품에 1억원을 투자한 투자자는 원금은 전액 손실되고, 만기까지 펀드 보유 시 원금의 1.4% 쿠폰금리와 운용보수 정산 0.5%를 돌려받게 된다. -98.1% 수익률로 190만원을 돌려받는다. 우리은행에서는 이 상품을 48명..

재테크코인 2019.09.26

다들 살아돌아오셨나? 전국단타대회 헬릭스미스, 동성제약

오늘 바이오주, 제약주로 수급이 싹 몰린 느낌이다. 섹터 전반으로 간게 아니라 전국단타대회 열린 종목이 있어서인데. 그 대장은 역시 헬릭스미스 이다. 헬릭스미스는 26일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엔젠시스'의 미국 임상 3상 경과를 설명했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이번 임상이 '미완의 성공' 이라면서 현재 목표로 했던 판매 허가 신청 시기보다 10개월에서 15개월 정도 늦어질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헬릭스미스 측이 밝히는 변경된 목표 시점은 2022년 2월이다. 헬릭스미스 측은 이번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후속 임상을 진행할 의지를 드러냈다. 오늘 헬릭스미스 종목 거래량 천만주 터지면서 (평소 10~20만주) 크고 아름다운 장대음봉으로 마감했다. 의외로 -9.52% 마감이긴한데..

국내주식 2019.09.26

삼성전자 QD OLED 13.2조원 투자설, 수혜 종목은 어디?

삼성전자의 10월 13.2조원 OLED 투자 계획 발표설이 슬금슬금 흘러나오고 있는 가운데, 시기가 어찌되었건 결국 삼성은 QD OLED 투자를 갈 수 밖에 없을테니 우린 수혜주가 어떤 종목인지를 찾아보면 될듯 하다. 주요 언론들이 최근 일제히 삼성디스플레이 QD OLED 13.2조원 투자 발표 10월 중순설을 흘렸다. 삼성전자는 LCD 생산시설 구조조정 작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8세대 LCD 생산 라인 일부를 가동 중단하기도 했고, 삼성전자가 QD-OLED 파일럿 라인을 L8 생산시설 안에서 진행 중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진행 중인 QD-OLED 파일럿 생산라인은 30K/월 생산능력으로 알려졌다. 준비 중인 파일럿 라인의 양산은 2021년 5월 개시될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디..

국내주식 2019.09.25

대주전자재료 급락, 그냥 다들 매물 폭탄 던지네.

대주전자재료 주가가 아주 폭탄을 맞았다. 최근 기관 매물이 계속되고 있어서 2.3만원 정도가 고점인가 싶기는 했는데. 240일 장기이평선 아래로 내려오자마자 매물 폭탄이 터졌다. 오늘 전체 시장이 안좋은 것도 있겠지만 그래도 -12%는 너무했다. 대주전자재료는 삼성전자 향 MLCC 제조 업체인데, 적층세라믹 콘덴서 부품이라고 쉽게 생각하면 된다. 스마트폰에도 사용되고 차세대 시장인 전기차에도 사용되고 전자제품이라면 곳곳에 들어간다. 그래서 '전자산업의 쌀' 이라고도 불린다. MLCC 관련주 중에서 전세계 시장 점유율 1위는 일본 업체 무라타이고, 2위가 한국의 삼성전기이다. 최근 일본 반도체소재 국산화 이슈가 여러 분야로 확대됨에 따라 주가 호황을 맞았었는데. 이거 결국 대주전자재료 급락으로 나오는거보면..

국내주식 2019.09.25

LG화학 갭떡락 무슨 일이 일어난거죠?

눈떠보니 LG화학 주가가 떡락했다. 아주 갭하락으로 신저가를 향해 달리고 있는데, 뉴스들을 찾아보면 강원도에서 ESS 발전실 화재가 발생하여 ESS 관련주들이 불안 심리로 급락했다는 듯하다. 아니 근데 그 ESS 설비 삼성SDI 거라는 말이 있는데 왜 LG화학이냐고 ㅠ.ㅜ 이번에 타격받은 ESS 관련주는 LG화학, 삼성SDI, 상아프론테크, 피앤이솔루션 등이 있다. ESS 는 전력 저장장치로 발전소, 2차전지 등에 주요한 기술이다. 아니 그래도 LG화학 제품 결함도 아닌데 거래량 너무 터지는거 아니냐? 장대음봉 이렇게 크게 만들면 회복하는데 오래 걸리겠는데 -_-? LG화학 3분기 실적이 기대보다 나쁠거라는 말도 나오고 있어서 음의 시너지도 발생하고 있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국내주식 2019.09.25

힘스 신고가 재도전!? 이번엔 갈까?

OLED 장비주 힘스 주가가 지난 6월에 찍은 신고가 2.7만원을 향해 다가가고 있다. 지난 6월에도 거래량이 크게 실리지 않은터라 1.7만원까지 내려가는 과정에서도 다시 가겠네 싶었는데 슬금슬금 올라가는 중이다. 오늘도 +6% 뛰었는데 생각보다 거래량이 안실린다. 투신이랑 사모펀드 수급도 최근에 안정정으로 들어왔고. 크게 이탈한 분위기도 아니니 이번엔 좀 더 꾸준히 가려나보다. 힘스는 OLED 장비주라서 역시 OLED 투자 소식이 들려야 올라가는데 최근 OLED 투자이슈는 삼성의 대형 QD OLED 발주 이슈랑, LG디스플레이 구조조정 2건이다. LG디스플레이도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데, 이걸 통해 LCD 부문을 줄이고 OLED 에 전력할 것으로 보인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국내주식 2019.09.24

코너스톤네트웍스, 빗썸 새로운 주인으로 등장할까?

지난번에 두올산업 종목이 빗썸 인수설 날리면서 롤러코스터 행보를 보여주다가 결국 계약 자빠지더니만, 빗썸 인수전 새로운 물주가 등장했다. 빗썸은 BK성형외과 대표원장인 김병건 회장의 SG BK그룹에서 인수를 진행하고 여기에 돈을 댈 물주를 찾는 그림이었는데. 최근 코스닥 코너스톤네트웍스 (구 이디) 에서 김병건 회장을 등기이사로 선임하고 블록체인 사업을 사업목적이 추가하는 임시주총을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근데 기사 자체는 9월 초 기사네. 게다가 코너스톤네크웍스 주가보면 이미 4월부터 한바탕 해드셨다. 적자인데 올해 주가가 5배가 뛰었다가 내려오고 있다. ㅋㅋㅋㅋ 코너스톤네트웍스 조윤형 회장은 빗썸 모회사인 비티씨홀딩컴퍼니 지분 50% + 1주 인수를 4억 달러에 진행하는 SG BK그룹에 유상증자 참여를..

국내주식 2019.09.19

받은글인데 내용 괜찮네요. 화폐전쟁? 유가 폭등? 유동성 랠리 시작하나?

받은 글 **미국, 일본에 이어 유럽과 중국도 돈을 풀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현금의 가치는 하락하고, 원자재의 가격은 오르게 됩니다. 그것을 추석 연휴 동안 반영시키지 못한 한국 증시는 오늘 급하게 반영시키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원자재 가격이 올라갈 거시적 환경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전이 파괴되며 원유가격이 10% 가량 상승하며 원자재 가격의 상승을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원자재가격이 상승하면 수혜를 보는 건설, 조선, 정유, 철강, 비철금속 업종과 경기민감주인 증권업종이 강세이며, 테마로써는 북미정상회담 재개 소식으로 남북경협테마가 강세입니다. 향후 돈의 가치는 하락할 것이기에 돈을 들고 있는 사람은 손해를 볼 것입니다. 안전자산에서 위험자산으로…채권에서 주식으로 Great Rotation이 기대됩니..

국내주식 2019.09.19

미쳐날뛰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테마주

폐사율 100% 라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 처음으로 발생했다. 16일 파주 양돈 농가에서 확인되었다는데. 이에따라 오늘 전염병 관련주들이 날아올랐다. 백광산업, 백광소재, 이글벳, 대성미생물, 체시스, 우진비앤지, 우성사료, 우리손에프앤지, 녹십자, 중앙백신, 제일바이오 마니커, 마니커에프앤지, 하림 바이오제네틱스, 에스텍파마, 인트론바이오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 즉시 위기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하고 48시간 동안 전국 돼지농장, 도축장, 사료공장, 출입차량 등을 대상으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관련 농장 돼지 3950두에 대한 살처분도 진행된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9.09.17

넵튠 급등, 지분 보유한 크래프트(구 블루홀) 상장설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크래프트 상장설 기사가 떴다. 크래프트는 배틀그라운드로 1조원을 땡겼는데, 넵튠은 크래프트가 블루홀이던 시절 투자해서 크래프트 지분 2.1%를 보유하고있다. 크래프트가 상장되면 예상 기업가치가 3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경우 넵튠의 크래프트 보유 지분 가치는 600억원에 달하게 된다. 넵튠 시가 총액이 1800억원이니까 이 중 1/3은 크래프트 보유 지분 가치이다. 사실 넵튠 본업은 게임 개발인데 대박낸게 없어서 똥망테크 중이라 그나마 저런 걸로 버티는 듯 하다. 넵튠 차트보면 8월에도 장대 음봉 그리면서 대규모 물량 이탈이 있었는데 뜬금없는걸로 다시 가네? 크래프트 상장은 확실시되는 분위기라서 넵튠 시가총액 재평가는 해당 부분을 반영하게 되지 싶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

국내주식 2019.09.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