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주식 3627

은행주 멸망 + 증권주 멸망

대내외적인 악재가 은행주, 증권주 모두 지옥으로 끌어내리고 있네. 미국 금융주 실적 안좋음. 이게 국내 금융주들도 비슷한 이유인데, 금리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현금처럼 들고 있던 채권손실이 엄청 크다고 함. 은행들도 채권 많이 들고 있을거고 증권사들도 많이 들고 있다고... 한국금융지주 왜 박살나나 찾아봤는데 몇개월 전에는 전년비 -20% 정도 실적 하락 예상하더니 이번에는 -40% 실적 하락할거라고 보고서가 나옴. 채권 쪽이 심각한듯. 대한민국 정부가 금리 인상기에 대비해서 취약계층 파산 방어를 위한 125조원 규모의 '금융부문 민생안정 프로그램'을 준비 중인데 그 중 정부 예산은 5조원도 안됨. 120조원은 금융회사들이 각출. 일종의 '배드뱅크' 설립 필요성은 납득함. 근데 민간 자본 끌어다 자기 돈처..

국내주식 2022.07.15

팜유 가격이 떡락하고 있다. 수혜주는? #라면관련주 삼양식품, 농심, 오뚜기

라면 제조시 사용되는 팜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라면 제조사들의 원가 압박 요인이었는데, 최근 급격히 팜유 선물 가격이 떡락하고 있음. 실제 수요보다 투기적 수요가 몰렸던 것이 경제 침체 우려로 가라앉으면서 거품이 빠지는 과정이 아닌가 싶음. 라면 회사들 가격은 일제히 올렸는데 팜유 가격은 빠진다고? 그럼 하반기에는 실적 좋아지겠네? ㅋㅋㅋㅋ 팜유 가격 뿐 아니라 밀 선물 가격 (소맥 선물 가격 = 밀가루 가격)도 많이 빠졌음. 역시 투기적 수요가 빠지는 것으로 보여짐. 근데 밀 쪽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밀밭을 불태우고 있어서 아직 우려가 사라졌다고 보기는 힘듬. 곡물 가격 급등으로 전세계적인 식량난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거론되고 있음. 아무튼 그리고,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돌파 했는데 이거 수출주에 ..

국내주식 2022.07.15

"넷플릭스 게섰거라!" CJ ENM 티빙 + KT 시즌 합병 오피셜~!

사전에 뉴스가 흘러나왔던대로 CJ ENM 자회사 티빙과 KT 자화사 KT스튜디오지니의 시즌이 합병을 발표. 양사는 이사회를 열어 합병 안건을 통과시켰다고 함. CJ ENM > 자화사 티빙 KT > 자회사 KT스튜디오지니 의 내부서비스 시즌 이런 구조인데, KT 시즌 사업부문을 티빙으로 합병 시키고, KT스튜디오지니가 티빙 지분을 받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함. 이러면 티빙 주주 구성은 CJ ENM, 스튜디오룰루랄라(콘텐트리중앙 자회사), 네이버 등에서 KT스튜디오지니가 3대 주주로 들어가게 됨. 합병은 12월 1일 진행 예정. 국내 토종 OTT 2위와 3위가 합병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토종 1위 웨이브를 단순 합산으로 넘어서게 됨. 물론 서비스를 합치는 과정에서 중복 등이 제거되고 이탈하는 사용자도 발..

국내주식 2022.07.15

증시 과매도에 저PER 종목 속출? 피크아웃 공포인가?

이라는 기사를 봤는데 저도 비슷한 생각으로 PER 종목 싼거 담으면 괜찮겠지라고 열심히 담아둔 종목들이 빠지고 빠지고 계속 빠져서 또 물타기 계속하고 그러는데... 실적 #피크아웃 의 망령이 가득한건지 어젯밤 미국 CPI 발표하고 오늘 국내 증시가 좀 완만한 조정인가 했는데 보유 종목들은 개판나고 있네요. 특히 너 한국금융지주! 왜 폭락하냐! 대한민국 증시 망했냐? 기사에서 언급하는 종목들은 풍산홀딩스, HMM, 성안, 동원금속, 동국제강, DL, E1, 다올투자증권, 현대제철, OCI, 한국가스공사 등으로 대부분 경기순환주(시크리컬주)라서 일시적으로 실적이 잘나왔다가 꺾일 것이라는 공포감에 휩싸여 있음. 피크아웃 종목 잘못 물면(물리면) 지옥 다녀오는게 맞기는한데, 한국금융지주 같은 증권주가 그렇게까지..

국내주식 2022.07.14

"넷플릭스 게섯거라!" 티빙 x 시즌 합병설. (CJENM, KT스튜디오지니, OTT관련주)

칸영화제 2개 진출 시키고도 국내 흥행에서는 참패해서 CJ ENM 기대도 안하고 지내는 중인데 뜬금 주가 급등하네? 뉴스를 찾아보니까 단독 뉴스가 하나 떴음. 14일 CJ ENM 과 KT 가 이사회를 개최해서 자사의 OTT 서비스인 티빙과 시즌을 합병 결의할 것이라는 떡밥. 두 서비스의 합병설은 과거부터 꾸준히 흘러나오기도 했고, 연초인가는 KT 측에서 긍정적인 늬앙스를 풍겼었음. 시간의 문제만 있을 뿐 언젠가는 합칠 것이라고 시장에서 보던 부분. 구조적으로 독자 생존이 쉽지 않기 때문. 양 서비스 이용자수를 단순합산할 경우 6백만명에 달하게 되고, SK텔레콤의 웨이브를 제치게 됨. 넷플릭스와는 아직 격차가 있지만 좀 더 안정적인 배급력을 확보하는 것. 차후 웨이브와의 합병 가능성도 커질 수 있음. * ..

국내주식 2022.07.13

데브시스터즈 오늘 급등 이유 아마도 이거? #게임주

데브시스터즈 주가가 오늘 뜬금 급등 중인데, 뭔일 났나? 신작 라인업 중에 아직 일정 다가오는거 없는데? 스팀에 '데드사이드클럽' 뭐시기 하는건 반응 별로던데? 그러던 중에 기사가 떴음. 아! 디즈니! 주력 게임인 쿠키런 킹덤이 디즈니와 콜라보를 하나봄. 이건 좀 크네. 디즈니 IP 고정 팬들이 많아서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서비스에도 도움이 될듯. 물론 디즈니 애들이 IP 라이선스비용을 악랄하게 띠어감. 매출이 꽤 많이 상승해야 남는게 있음. ㅋㅋㅋㅋ 데브시스터즈 주가는 급등을 해도 아직 티도 안나는 수준. 갈길이 멀다아아아앙. #국내주식 #게임주 ☆ 좋아요! 댓글! 구독! 알림설정! ☆ ★ 애매한 것들에 대한 주관적 고찰 ★

국내주식 2022.07.13

넵튠 상한가 왜 난리인가 했더니 #게임주

어제 중국이 판호받은 게임 명단을 공개했는데, 넵튠 자회사 님블뉴런의 '이터널 리턴: 인피니트' 라는 게임이 승인받았다고 합니다. 이터널리턴 게임은 만화풍 그래픽에 리그오브레전드와 유사한듯한 게임성인데요. 이미 스팀 등을 통해 서비스하면서 괜찮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게 중국 판호를 받은건가 했는데 '이터널 리턴 : 인피티트' 는 이 게임의 모바일 버전이라고 합니다. 아직 개발 중인데 미리 판호 받은 것. 중국도 롤이 인기인 나라라서 괜찮은 결과가 기대됩니다. 넵튠 형들 만년 적자 회사인데 올해는 흑전 가능한가? 넵튠 대주주는 카카오게임즈(49.7%) 입니다. #국내주식 #게임주 ☆ 좋아요! 댓글! 구독! 알림설정! ☆ ★ 애매한 것들에 대한 주관적 고찰 ★ ​

국내주식 2022.07.13

이재용 광복절특사설, 삼성전자 주가 지금이니?

삼성 이재용 부회장이 광복절특사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나봄. 사실 박근혜도 사면된 마당에 안놔주고 있는게 유머인 수준임. 게다가 이미 가석방으로 복역은 마친 상태이고, 추가로 제한이 풀어지는건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5년간의 취업 제한 등' 이라고 함. 8월에 광복절특사 사면되면, 9월에 대규모 M&A 발표하고, 대규모 투자계획도 발표하고, 10월에 3Q 어닝서프라이즈 찍고 삼전 주가 다시 끌어올려서, 내년 주총에서 삼성전자 회장 취임하려나? 지인이 고층에 물려서 돌려보는 행복회로. 난 반도체 주식 안삼. #국내주식 #삼성전자주가 ☆ 좋아요! 댓글! 구독! 알림설정! ☆ ★ 애매한 것들에 대한 주관적 고찰 ★ ​

국내주식 2022.07.13

HMM 지분 매집, 3대주주에 올라선 SM그룹. 경영권 인수 노릴까? #해운주

SM상선이 단순 투자 목적이라면서 꾸준히 매집하더니 3대주주까지 올라섬. 누적 5천억원 투입. SM상선 외 SM그룹 오너 및 관계자 지분 포함하면 1조원에 육박하고 HMM 지분 6.29%를 확보. 시장에서는 SM그룹이 HMM 인수에 관심이 있어 보인다고 추측. HMM 대주주는 구조조정 자금을 투입한 산업은행 + 해양진흥공사 = 약 40%. 이왕 이렇게 된거 SM그룹이 시장에서 매집하지 말고 정부 지분 인수해주면 모두가 해피엔딩 아닐까 싶음. 정부는 혈세 들어간 자금 회수해서 좋고, SM그룹은 깔끔하게 대주주 지분 확보해서 좋고. SM그룹은 경남모직, 남선알미늄, 티케이케미칼, SM상선, 대한해운, 삼선로직스 등을 인수하며 사세를 키워옴. 하지만 시총 11조원에 달하는 HMM 경영권 인수하기에는 아직 자금..

국내주식 2022.07.08

MZ세대, 골프 다음은 테니스? feat. F&F 테니스의류 브랜드 세르지오 타키니 인수 #의류주

최근 수년 사이에 골프장에 2030 MZ 세대가 몰려갔다면서 골프복 테마주가 날뛰었는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골프는 돈이 많이 들어가는 스포츠라서 지속적으로 하기 힘드니까, 좀 더 비용이 저렴한 테니스로 MZ세대가 몰려가고 있다는 뉴스. 그리고 7일 대형 의류 업체인 F&F에서 글로벌 테니스 브랜드 세르지오 타키니를 827억원에 인수했다고 기사가 나옴. 근데 내 뇌피셜로는 여성분들이 땡볕에 땀 뻘뻘 흘리면서 폭발적인 근력과 민첩성이 필요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냥 한철 유행이 되지 않을까 싶음. 업체들이 필라테스복, 요가복, 러닝복, 레깅스 입고 등산하기 등을 판매하고 나니까 이제 새로운 걸 팔아야해서 트렌드를 주도해가는 것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실제 테니스 동호회는 아재들 천국..

국내주식 2022.07.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