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 100% 올인 전략은 하락장이나, 금리 인상 사이클에 폭격맞는다는 말이 있어서 인플레이션 헷지 (= 금리 인상 헷지) 방법 찾아봄. 인플레이션 발생 (=물가 상승) 시 자산에 따른 상관계수는 주식, 채권, 현금, 원자재 중에 원자재가 가장 높다. 금, 은 등을 말하는데 현재(2020년) 코로나 시국에는 뜬금없게도 제로금리인데 금과 은 가격이 미친듯이 폭등 중이라 선제적 투자에 나서기 좀 망설여진다. 이후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 현금과의 상관도가 높다고 한다. 근데 물가 상승기에 현금 보유하면 가치 폭락하는거 아닌가? 자산을 쥐고 있어야지 않아? CPI는 소비자물가지수를 말하는거고. 저게 높으면 물가 상승기 = 인플레이션 발생 중인거다. 미국 쪽을 봐야할텐데. 그냥 봐서는 상관성을 모르것다.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