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LED 장비주 168

덕산하이메탈 급등, 뭐하는 회사인고?

덕산하이메탈 9월14일 7280원 +17.80% 반도체 후공정, 반도체 패키징용 부품 소재 솔더볼 업체(->삼성전자)이다. 2분기 영업이익은 적자, 지배주주순이익은 24억 (1분기 18억정도) 실적인데. 시총은 오늘 급등 반영해서 1650억원. 상반기 실적이 하반기에도 이어진다면 연 80억 정도 지배주주지분순이익인데 그럼 20퍼 정도니까 작년이랑 비슷한 실적이 예상된다. 말하자면, 새로운 떡밥이 나오지 않는 이상 왜 급등하는지 납득이가 없는 회사이다. 최근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해서 숏커버인가 하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이거 숏커버 쳐서 이익이 그리 남나? 작년에 무상증자 1건 빼고 공시 내용들도 깨끗한 편이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9.14

2018 하반기 중소형주 종목 Top Picks 15선

키움증권에서 선정한 2018년 하반기 중소형주 탑픽 15 종목이다. 코나아이처럼 이미 급등을 달리는 종목도 있고, 피에스케이처럼 떡락 중인 종목도 있는데 나름 종목 선정 사유들이 포함되어 있으니 살펴보고 적당한게 보이면 관종에 넣어두면 될듯하다. 피에스케이, 이녹스첨단소재, 켐트로닉스, 코나아이, 메지온, 이지웰페어, 유니테스트, 파크시스템스, 동운아나텍, 비에이치, 엘앤에프, 아모텍, 삼익악기, 한라홀딩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9.07

AP시스템 급등. 흥미로운 수급일세

AP시스템 9월3일 27800원 +6.72% 급등락 리스트에 잡혀서 보니까 올ㅋ 차트도 바닥 찍고 올라가는 모양이고, 기관 수급이 넝쿨채 몰려들고 있다. 얘 뭐였지? OLED 장비주 일텐데. 오늘 이엘피, AP시스템, HB테크놀러지, 리드, 비아트론 등 OLED 장비주 종목들 같이 움직였는데. LG디스플레이 에서 중국 광저우 공장 시설 투자가 본격적으로 시작하는걸까? 정작 AP시스템은 미보유이고 다른 OLED 장비주 물려있는건 좀 있는데 아무튼 수익나고 탈출하면 좋것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9.03

원익IPS, 원익테라세미콘 합병설 조회공시

원익IPS 8월29일 26700원 +6.37% 원익테라세미콘 8월29일 17500원 +13.64% 원익IPS 랑 원익테라세미콘 합병설이 돌고 있다. 거래소에서 조회공시 요청한 상태인데. 원익IPS는 OLED 장비주이고, 원익테라세미콘은 반도체 열처리 장비랑 삼성향 OLED 장비주 라고 보면되는터라 합병이 성사된다면 꽤나 시너지가 기대된다. 시장도 그리 보는지 두 종목 모두 상승 중. 올해 실적은 좀 곤두박질 치는 중인데. 2018년 말부터 2019년까지 다시 투자 사이클이 돌아오면 실적은 괜찮아질듯하고. 합병이 성사되어 기업 사이즈가 커지면 추가적인 기관 외인 자금 유입도 기대된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8.29

LG디스플레이 OLED 중국 광저우 공장 최종 승인

LG디스플레이 7월11일 19700원 +0.51% 중국 광저우에 건설 중인 LG디스플레이의 OLED 공장이 중국 정부로부터 최종 허가가 나왔다. 엘디플의 광저우 공장은 8.5세대 OLED 생산 라인으로 월6만장 생산을 시작으로 월 최대 9만장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2019년 하반기부터 생산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한한령 여파에 휩싸이며 공장 승인이 차일피일 밀리고 있었는데 기술 제공하기로 뒷거래를 한건지 먼지 모르겠지만 암튼 이제는 답답하던게 하나 풀리나보다. lcd 가격 폭락으로 oled에 올인해야하는 LG 디스플레이로서는 한시름 덜었다. OLED 장비주인 힘스, 주성엔지니어링 등도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7.11

HB테크놀러지 급등, 삼성디스플레이 벤더사 엘이티 인수

HB테크놀러지 7월10일 2360원 +12.38% HB테크놀러지가 컨소시엄을 통해 삼성디스플레이 벤더사인 엘이티를 인수한다. 엘이티 경영권 지분 70%를 컨소시엄이 인수하는데 그 중 HB테크놀러지 지분은 34%로 265억원이다. 그 외 사모펀드 등이 컨소서엄 멤버로 참여한다. HB테크놀러지는 경영권을 확보하고 전략자 투자자 개념으로 엘이티를 인수하여, 중복 비용을 줄이고 HB테크놀러지와의 기술교류를 통하여 효율성을 높여 실적 향상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HB테크놀러지는 내년 엘이티를 코스닥에 상장하여 순내부수익률 15%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상한가 확률 +1% 상승 *

국내주식 2018.07.10

LG디스플레이 악재가 첩첩산중. 이번엔 구조조정?

LG디스플레이 6월21일 18950원 -3.32% 엘디플이 실검까지 오르는 등 악재 폭격을 맞고 있다. LG디스플레이 희망퇴직 뉴스가 흘러나오면서 LG디스플레이 구조조정 작업이 진행 중인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오가고 있는데. LCD 패널이 주력 수익인 상황에서 (OLED 대형 패널 전세계 1위 점유 중이지만 실상은 OLED 시장이 아직 개화 중이라 적자다) 중국산 LCD 들의 가격 덤핑으로 올해 1조원 규모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OLED 투자도 2020년까지 20조원을 진행해야 한다고 하고... 돈 들어갈 일은 계속되는데 수익날 구석이 변변찮다. 일단 엘디플 쪽은 희망퇴직설은 낭설이라 입단속 중이다. 근데 어찌되었던. 회사로서는 안된일이지만 주식투자자 입장에서 구조조정은 수익성 개선의 신호탄으로 해석해..

국내주식 2018.06.21

코오롱인더, 휘어지는 스마트폰 수혜주

코오롱인더 5월31일 66100원 -0.30% 상당히 다양한 사업구조(산업자재,화학소재,필름,전자재료,패션,아웃도어)를 가진 회사이다. 일단 초점을 맞춰볼 부분은 플렉서블OLED 시대로 넘어가면서 내년 초 출시 가능성이 있는 휘어지는 스마트폰에 필요한 소재인 필름을 코오롱인더가 공금할 가능성이 있다는 그림이다. (뭔소리래? 문장 다듬기 귀찮으니 알아서 읽자) 메리츠종금증권 리포트에서는 사업정상화 구도로 넘어가고 있고. 하반기 원가 상승분이 제품가격에 반영될것이며, 주요 사업부 외형 성장이 진행되니 목표가 10만원 제시하고 있다. 근데 난 그냥 플렉서블 스마트폰 테마주로 접근하겠음. 내년 초 MWC 2019에는 화면이 휘어지는 스마트폰이 나올거고 (중국이든 삼성이든?) 그럼 관련 스마트폰 부품주가 주목받을..

국내주식 2018.05.31

2019년 아이폰 모델은 모두 OLED로 간다!

OLED 장비주에 햇살이 좀 비추려나? 아이폰X 실적 똥망되면서 OLED 부품주 애들 실적도 반토막 나서 캐물렸는데 ㅠ.ㅜ 2019년 출시할 아이폰들은 모두 OLED로 간다는 애플 업계 관계자들 이야기가 흘러나왔다. 2019년 아이폰 모델은 3종을 기획하고 있고 모두 OLED로 간다는 전망이다. 내부적으로는 아이폰X 의 OLED 화질과 성능이 LCD 때보다 낫다고 평가했다고.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애플 아이폰 OLED 를 전량 공급하고 있는데 관련 업체들이 수혜를 받을듯하다. 관련 수혜주는 삼성전자, 삼성SDI, 비에이치, 삼성전기, 제이엠티, 한국컴퓨터, AP시스템, 아이씨디, 테라세미콘, 원익IPS, 비아트론, 주성엔지니어링, 탑엔지니어링, 에스에프에이 요 정도 기대해본다. OLED 관련주 꽤 많은데 차..

국내주식 2018.05.29

LG디스플레이 3조원대 OLED 장비 발주 예정

LG디스플레이가 다음 달 3조원 규모의 OLED 장비를 발주할 것이라는 기사가 나왔다. 작년 말 이슈가 되었던 중국 광저우 8.5세대 OLED 라인인데.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5월 말부터 정식으로 장비 발주를 시작한다는 소식이다. LG디스플레이가 정식으로 투자 집행을 위해서는 중국 당국의 반독점심사를 최종 통과해야한다. 이게 1분기에 통과 했어야는데 중국 정부 쪽에서 진행이 늦어지면서 2분기로 넘어갔다. 하지만 해당 공장은 중국 광저우 정부와 합작한 법인이라 심사는 무난히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광저우 공장은 월 6만장 생산 규모로 설비투자로만 3조원 규모의 장비가 올해와 내년초에 걸쳐 반입될 예정이다. 실제 공장 가동은 2019년 하반기로 예상하고 있다. 기존 OELD 장비 공급업체들이 대부분 ..

국내주식 2018.04.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