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한가 종목 158

하반기는 5G 테마주가 캐리한다.

갤럭시노트10 5G 전용모델이 새로 출시하는 등 스마트폰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5G 통신망 보급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19년 하반기에도 5G 장비주 들은 이통사들의 5G망 경쟁에 수혜를 받을 전망이다. 주요 5G 관련주 체크 케이엠더블유 : 안테나, 필터 등 기지국에 사용되는 통신 부품 제조.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에 공급. 영업이익 1분기 248억원, 2분기 555억원 이노와이어리스 : 기지국 테스트에 활용되는 계측 시험장비를 생산. 2분기 58억원 흑전 오이솔루션 :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광트랜시버 부품 생산. 2분기 영업이익 165억원 흑전 서진시스템 : 2분기 영업이익 165억원. 소형기지국 등 네트워크 장비 부품사 대한광통신, RFHIC, 에스넷 등 * 아래를 눌러주시면 보유종목..

국내주식 2019.08.19

원익QnC 어닝쇼크 기관들도 다 물린거 같다.

원익QnC가 모두의 뒷통수(!)를 치며 상반기 누적 손실로 적자전환했다. 기관 분석 리포트에서는 일회성 비용 영향이 컸다고 바라보는 것 같기는 하다. 원익QnC 2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599억원 -10.9% yoy, 영업이익 42.5억원 -67.1% yoy, 당기순손실 -181.7억원으로 대규모 적자전환 이다. 반도체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국내법인 쿼츠 사업부 매출이 많이 하락해서 마진 훼손이 컸고. 일회성 비용인 모멘티브홀딩스 인수비용 20억원 등의 영향이 있었다. 2019년 하반기도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은게 주요 고객사의 생산 가동률 회복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모멘티브 쿼츠 사업부 분할 합병 절차도 아직 남아있어 추가적인 일회성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대신증권의 원익Qn..

국내주식 2019.08.16

위닉스 하락세 2분기 실적 급락 때문인가? 근데 파는게 맞을까?

위닉스 주가가 연일 내리꽂고 있다. 2분기 실적 공시가 뜨긴했는데 2분기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좋지 않다. 위닉스 2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1032억원 -7.2% yoy, 영업이익 102억원 -25.6% yoy,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 72억원 -33.4% yoy 으로 전년보다 마이 안좋다. 작년보다 여름이 덜 덥고 덜 습해서이긴한데. 1분기에 떡상급 실적을 이미 땡겨놓은 원인도 있다. 상반기 누적 영업이익은 433억원으로 2018년 상반기 227억원과 비교하면 압도적이다. 하반기는 성수기가 아니기도해서 상반기 실적으로 한해 장사 다 해놓는 기업인데. 상반기 영업이익이 작년 전체 영업이익인 205억원을 훌쩍 넘었다. 당기순이익도 상반기 336억원으로 작년 연간 당기순이익 189억원의 두 배 가량 된다..

국내주식 2019.08.16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어닝서프라이즈, 이틀째 급등

한화에어로스페이즈 2분기 실적 공시가 그제 나왔는데. 시장 컨센서스인 304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영업이익 788억원을 달성했다. 전년동기대비 +471% 상승한 수치이다. 시장의 예상 범위를 벗어나면서 주가도 미쳐 날뛰었다. 어제 장대양봉을 그리며 17% 급등하고 오늘도 신고가를 경신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개선은 에어로스페이스의 엔진부품 장기공급 사업과 테크원 CCTV 사업의 체질개선 성과에서 기인한다. 또한 디펜스의 인도향 자주포 등 고마진 수출이 집중되면서 실적을 견인했다. 최근 환율이 급등하면서 환율 수혜까지 입었다. 키움증권은 이와같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실적 상승에 따라 목표가를 41000원으로 제시하면서 매수 의견을 냈다. 미래에셋은 4만4700원, 대신증권은 5만원, NH투자증권은 5..

국내주식 2019.08.14

이마트 바닥 신호인가? 살까 말까?

하염없이 흘러내리던 이마트 대량 수급이 들어왔다. 보통 이러면 매수 신호던데. 최근 비관적인 증권사 리포트들과는 달리 기관 포지션은 매수 쪽으로 잡고 있더니면 오늘은 아예 왕창 사들이면서 급등했다. 이마트는 오늘 주가 부양을 위해 자사주 90만주 취득 결정 공시를 냈는데. 자사주 매입하면 주가가 상승 쪽으로 방향을 잡기는 하지만 그래도 좀 쎄게 올랐다. 이마트 2분기 실적이 적자전환한 것과는 무관하게 잠재력 자체는 높게 평가되는 듯 하다. 근데 기관 리포트는 한동안 실적 반전은 힘들다면서...? 왜 이리 말과 행동이 달라? 이렇게 급등 때리기 전에 샀어야는데 이러면 다시 박스권 바닥 가기 전까진 들어가기 아까워진다. 10만5천원 터치 기다려볼까나? 이마트 연결기준 2분기 실적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

국내주식 2019.08.13

네오위즈 실적 떡상, 누가 벌고 있을까?

게임플랫폼 피망을 서비스하고 있는 네오위즈 2분기 실적이 떡상했다. 연결기준 매출액 600억원으로 전년이랑 거의 비슷한데, 영업이익 92억원 전년대비 -4.1% 전기대비 +21.5%,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 124억원 전년대비 +50.5% 전기대비 +68.5% 급상승했다. 작년에는 블레스 런칭빨이 있어서 영업이익 감소로 떴을 뿐이지 전반적으로 실적은 상승 추세이다. 네오위즈에서는 이것저것 열심히해서 돈 벌고 있어요라고 말은 하는데. 내가 보기엔 모바일 피망포커 때문으로 보여진다. 최근 구글스토어 기준으로 피망포커 매출 순위는 7위까지 올라갔다. 자체개발 게임인데다가. 웹보드 게임들의 순이익률이 90%가 넘는다는 말이 많은터라 스토어 수수료를 떼어주고도 순이익률이 50%는 훨씬 넘을 것으로 보여진다. 마켓..

국내주식 2019.08.09

쎌바이오텍 2분기 실적 떡락. 언제쯤 회복될까...;;

와... 오늘 장 마감하고 쎌바이오텍 2분기 실적 공시가 있었다. 장 마감 후에 뿌린데서 느껴지듯이 떡락. ㅋㅋㅋㅋ. 셀바이오텍 연결기준 2분기 매출액 116억 -28.6% YoY, 영업이익 10.8억 -79.3% YoY, 당기순이익 20.2억 -59.3% YoY ... 암담...하네. 암웨이 떨어져나간 여파가 1분기에 이어 지속되고 있다. 쎌바이오텍에서 암웨이가 차지하던 비중이 2018년 기준으로 매출 39% 를 차지했었다. 이게 공급 물량이 확 줄어들면서 답없는 내리막길을 가고 있다. 쎌바이오텍 관계자는 2019년 하반기에는 국내외 다양한 채널과 유연한 판매 정책으로 매출 확대를 도모한다고 말하고는 있는데. 이거 할인 판매 한다는 말은 아니겠지??? 쎌바이오텍에서 진행 중인 대장암 치료제 임상 계획은..

국내주식 2019.08.08

오늘 화장품주 떡상, 코리아나, 한국화장품, 토니모리 등

화장품주로 수급이 몰리고 있다. 화장품 종목들은 중국 관광객 관련으로들 바라보는데 요즘은 별 이슈 없지 않나? 얘들도 애국테마주 분석나온건가??? 오히려 일본인 관광객 줄어서 악재이지 않아? 오히려 화장품주 호재 뉴스들은 딱히 갑지기 튀어나온건 없고, 최근 6-7월 지나가면서 중국 정부의 한국행 관광 규제가 완화되고 있다 소식들이 천천히 흘러나오긴 했다. 따이궁 규제 완화, 중국인 인바운드 회복 및 면세점 매출 성장세 등의 뉴스이다. 근데 화장품 관련주들 다들 워낙 밀렸던 상태라서 반등이 반등같은 느낌이 아니구만. 갈길들이 멀다. 코리아나도 상한가 나왔는데 장기이평선까지 상한가 한번 더 나와야 터치하는 현실이다. 일단은 뉴스로는 애국테마주 이슈로 분석되고 있다. 상승률로 보는 대장주는 코리아나, 한국화장..

국내주식 2019.08.08

GKL, 주가는 떡락, 실적은 떡상. 공포를 매수로?

파라다이스와 함께 카지노주 대장주인 GKL 주가가 연일 떡락 중이다. 일본 화이트리스트 제외 등 한일 무역 분쟁 여파가 크게 작용했는데. 일본인 한국행 관광객이 감소할테니 실적에 피해가 클거다 이런 시나리오다. 근데 기관들은 사고 있다!? GKL 주력 손님은 중국인 관광객이라는 말도 있고. 실제로 전년대비 올해7월까지 누적 드롭액은 +24.7% 증가했다. 근데 주가는 전년말 2.4만원에서 지금 1.8만원까지 내리꽂은 상태이다. 일본인 관광객 감소 감안해도 실적 평타만 쳐도 배당주 매력도 있고, 주가 급락 전까지 회복하면 +50% 가량 수익도 노려볼만 하다. 이렇게 적다보니까 진짜 사고 싶네 ㅋㅋㅋㅋ 다른 기사에서는 좀 다른 시각으로 바라봤는데, GKL 방문한 VIP 중 일본인 비중은 2017년 31%, ..

국내주식 2019.08.07

덴티움 2분기 실적 어닝 서프라이즈, 목표가 떡상

치과 임플란트 관련 종목 덴티움의 2분기 실적이 기관 전망치를 뛰어넘고 어닝서프라이즈를 찍었다. 이에 줄줄이 기관 추천 리포트가 줄을 잇고 있는데... 덴티움 2019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89억원 +45.6% YoY, 영업이익 154억원 +21.3% YoY,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 91.7억원 -17.9% YoY 을 달성했다. 당기순이익과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을 제외하고 본업 실적만 본다면 매우 긍정적인 수치이다. 아니 근데 형님들 결국 P/E 계산할 때 사용하는거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 아니었소??? 너무 긍정적으로만 보는거 아닌가 모르겠네. 기관 리포트들은 덴티움의 주가수익비율이 동종업계평균 수준인 24.4배보다 낮은 15~19배 정도로 예상된다면서 목표가 상향 및 추천 종목으로 제시했다. ..

국내주식 2019.08.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