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오픈AI 샘알트먼 의료용AI 챗GPT 개발 소식에 의료AI 관련주 급등

ㅎㅎㅈㅅ 2025. 2. 4. 21:50
반응형

 

세계 최대 인공지능 AI 챗봇 개발기업 CEO 샘 올트먼이 한국에 방문했습니다. 다양한 기업 대표들을 만나고 다니는데 4일 의료용 인공지능 챗GPT를 개발 중이라는 발언에 의료 인공지능 테마주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관련주들을 정리해봅니다. 

 

 

 

1. 루닛 

  • 핵심 기술: AI 기반 의료 영상 분석 및 바이오마커 플랫폼.
    • Lunit INSIGHT: 흉부 X-ray, 유방촬영 영상 분석을 통한 암 조기 진단.
    • Lunit SCOPE: 암 치료를 위한 최적의 약물 및 치료 전략 제시.
  • 최신 동향: 2024년 혁신의료기술 지정으로 비급여 청구 가능, 글로벌 기업(GE 헬스케어 등)과 협력 확대.
  • 전망: 중동·유럽 시장 진출 가속화, 싱가포르 AI 플랫폼 프로젝트 참여.

 

 

 

2. 제이엘케이

  • 핵심 기술: 뇌졸중 진단 솔루션 및 의료 데이터 플랫폼.
    • JBS-01K: 뇌졸중 진단 지원, 건강보험 비급여 적용.
    • JLK-CTP: FDA 승인 뇌 CT관류영상 분석 솔루션.
  • 최신 동향: 2025년 미국 FDA 추가 승인 목표(6개 솔루션), 일본·동남아 시장 진출.
  • 전망: 글로벌 의료 허브 플랫폼 구축으로 진단부터 재활까지 통합 지원.

 

 

 

3. 뷰노

  • 핵심 기술: 의료 영상 및 생체신호 AI 분석.
    • VUNO Med-DeepBrain: 뇌 MRI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 진단.
    • VUNO Med-DeepCARS: 심정지 위험 예측 솔루션.
  • 최신 동향: 미국 FDA 승인 신청 진행 중, CE 인증 획득으로 유럽 시장 공략.
  • 전망: 국내 병원 도입 확대 및 글로벌 임상 검증 강화.

 

 

 

4. 셀바스헬스케어 

  • 핵심 기술: AI 음성인식 기술 접목 의료기기.
    • ACCUNIQ: 체성분 분석기·혈압계 개발.
    • Selvy MediVoice: 의료진 음성 기록 솔루션.
  • 최신 동향: 군 이동 원격진료 시범사업 성공, 삼성서울병원 등 대형 병원 도입.
  • 전망: 원격의료 및 해외 피트니스 시장 확장.

 

 

 

5. 딥노이드 

  • 핵심 기술: 의료 영상 판독 및 질병 조기진단 AI.
    • DEEP:AI : 15개 의료 AI 솔루션(식약처 인허가).
    • DEEP:STORE : AI 마켓플레이스 플랫폼.
  • 최신 동향: 두바이 지사 설립으로 중동 시장 진출, 필리핀 등 아시아 시장 공략.
  • 전망: 스마트 헬스케어 및 원격의료 분야 사업 다각화.

 

반응형

 

 

6. 코어라인소프트 

  • 핵심 기술: 3D 의료 영상 분석 솔루션 AVIEW.
    • 자동화된 진단 보조 기술로 북미·유럽 시장에서 수요 증가.
  • 전망: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와 협력 확대.

 

 

 

7. 젠큐릭스 

  • 핵심 기술: AI 기반 유전자 분석 및 정밀 진단.
    • 암 진단 분야 혁신적 제품 개발로 주목.
  • 전망: 개인 맞춤형 치료 솔루션 시장 선점.

 

 

 

8. 라이프시맨틱스 

  • 핵심 기술: AI 건강관리 플랫폼 Lifesemantics.
    •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및 의료 빅데이터 분석.
  • 전망: 동남아 시장 진출 추진.

 

 

 

9. 이지케어텍 

  • 핵심 기술: 병원정보시스템(HIS) 및 AI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 중동·동남아 시장에서 HIS 구축 경쟁력.
  • 전망: 전통 의료IT에서 AI 기반 종합 헬스케어 기업으로 전환.

 

 

 

10. 셀바스AI 

  • 핵심 기술: 음성인식 기반 진료 기록 솔루션.
    • Selvy Checkup: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병 예측.
  • 전망: 원격의료 플랫폼 확장 및 해외 시장 진출.

 

 

 

 

시장 전망 및 정부 지원 

  • 글로벌 성장률: 2025년 의료 AI 시장 CAGR 40% 예상, 2030년 8,092억 달러 규모 전망.
  • 정부 정책: AI 의료기기 육성 지원, 비급여 적용 확대로 병원 도입 장벽 해소.
  • 주요 도전 과제: 의료 수가 체계 개선, 글로벌 규제 승인 확보.

 

투자 포인트

  • 글로벌 FDA/CE 승인 기업(예: 루닛, 제이엘케이, 뷰노)은 해외 매출 성장 가능성 높음.
  • 원격의료 및 데이터 플랫폼에 집중하는 기업(셀바스헬스케어, 라이프시맨틱스)은 디지털 헬스 트렌드 수혜.
  • 정부 지원 정책에 따른 규제 완화는 중소형 기업 성장 촉진.

 

728x90
반응형